top of page
교회.jpg

복음루터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전통적이고 역사적이고 바른 신앙고백이 함께 있는 예배에 참여해 주십시요

예배당 2.jpg

교회 소개

복음루터교회는 미국 정통 보수 교단인 루터교 미주리 총회(LCMS)에 소속된 신실한 복음의 교회입니다.
우리는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의 신앙 개혁 정신을 따라, 오직 은혜(Sola Gratia), 오직 믿음(Sola Fide),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위에 굳게 서 있습니다.

우리 교회는 율법과 복음이 분명하게 구별되어 선포되며,

죄의 회개와 용서가 매 주일 선포되는 예배, 그리스도께서 친히 주신 몸과 피를 믿음으로 받는 거룩한 성찬을 은혜의 방편으로 소중히 여기며 신실하게 시행합니다.

예배는 인간이 하나님께 무엇을 드리는 행위라기보다,

하나님께서 오히려 우리에게 찾아오시고 은혜로 섬겨주시는 신성한 예배(Divine Service)임을 고백합니다.

복음루터교회는 31년 전, 오렌지 카운티 가든그로브에서

문현봉 원로목사님에 의해 개척되었으며, 27년 동안

목회를 이어오셨습니다.
2024년 5월, 교회는 하나님의 인도하심 가운데 부에나팍에 위치한 새언약교회(담임 노종우 목사)와 하나되어 새로운

공동체로 재 탄생하였습니다.

제2대 담임으로 김병곤(Rev. Joseph Kim) 목사가 섬기며, 말씀과 성례 중심의 복음 사역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복음루터교회의 사역들

​우리교회의 중점 사역들은 예배와 수준 높은 성경공부 그리고 지역 사회에 필요한 요구를 총족 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주일예배

전통적인 예배로 현대인을 위한 영감을 주는 예배를 함께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섬겨 주시는 (Divine Service) 예배이며, 

모든 분들이 깊은 영적 은혜를 체험할 수 있도록 기도로 준비합니다. 

수요성경공부, 개인 맞춤 성경공부

우리의 사역은 유튜브를 통한 성경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합니다.  성경의 역사적 배경과 원어를 통한 지식과 이해를 깊이 있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변화 공동체

우리는 기독교의 전통적인 가치관을 중심으로 사람을 변화시키는 따뜻한 공동체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민자들을 위한 쇼샬 써비스를 안내하며 해당 기관과 연결을 통해 도움을 드립니다.

우리가 믿는 신앙고백들

​성경속의 인물을 만나다

​“성경 속에서는 비록 ‘마이너’로 보이지만, 하나님의 구원 역사 속에서 결정적인 순간마다 빛을 발한 인물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연약함과 상처 속에서도 믿음으로 자신을 극복해 나갔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여정을 통해 인간 내면의 갈등과 회복의 심리를 바라보며, 현대 심리학적 시선으로 그들의 믿음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신앙이 단순한 교리가 아니라, 내면의 치유와 성장,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자신을 다시 세우는 길임을 일깨워 줍니다.”

하갈(Hagar)은

성경 창세기 16장과 21장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의 여종이자,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의 어머니입니다. 고대 근동 문화의 맥락과 함께, 하갈의 삶을 현대 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면 그녀의 경험은 트라우마, 권력 구조, 정체성, 회복 탄력성과 관련된 중요한 주제들을 보여줍니다.

 

1. 정체성과 권력의 문제: 타인의 결정에 의해 움직인 삶

  • 사회적 지위: 하갈은 애굽(이집트) 여종으로, 스스로의 삶을 선택할 수 없는 위치에 있었습니다. 그녀의 몸과 인생은 사라와 아브라함의 결정에 따라 좌우되었죠.

  • 심리적 분석: 현대 심리학에서는 이런 상황을 객체화(Objectification), 권력 불균형(Power Imbalance), 자기결정권 상실(Loss of Agency)로 분석합니다. 하갈은 ‘사람’이기보다는 ‘수단’으로 취급당했고, 이는 자아정체감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현대 용어로 본다면: 하갈은 감정적으로 무시당하고, 성적 자기결정권 없이 ‘대리 출산’을 강요받은 여성이었습니다.

 

2. 트라우마와 심리적 상처

  • 사라의 학대로 인해 하갈은 광야로 도망칩니다 (창 16:6). 그녀는 이방인, 노예, 여성이라는 복합적인 약자 정체성을 가진 존재로서 고립과 거절을 경험합니다.

  • 심리학적 해석:

    • 복합외상(Complex Trauma): 반복적이고 장기적인 억압과 학대는 깊은 정서적 상처를 남깁니다.

    • 애착 문제: 하갈은 주인과의 관계 속에서 불안정한 애착 경험을 했고, 이는 자기 이미지와 신뢰감에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 회피적 대처: 광야로 도망친 것은 상황에 대한 회피로 보일 수 있으나, 동시에 생존 본능에 따른 자율적 행동이기도 합니다.

 

3. 회복 탄력성과 자기 발견

  • 엘 로이의 하나님 경험 (창 16:13): 하갈은 하나님을 “나를 살피시는 하나님”으로 경험합니다. 이는 그녀의 존재가 하나님 앞에서 인정받는 인간임을 확인받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 심리학적으로 보면:

    • 존재 인식(Validation): 하갈은 처음으로 자신의 존재와 고통이 하나님에게 ‘보이고 들렸음’을 느끼며 정체성 회복의 단초를 경험합니다.

    • 회복 탄력성(Resilience): 하갈은 비록 노예였지만, 자기 아들과 함께 살아남고, 결국 민족의 어머니가 됩니다. 이는 심리적 회복력과 생존 의지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4. 모성 역할과 자기 주체성의 성장

  • 하갈은 이스마엘을 낳고 키우며, 모성적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후 아브라함의 집에서 또 한 번 쫓겨나지만, 아들을 지키고 미래를 개척합니다.

  • 심리학적 의미:

    • 모성 정체성(Maternal Identity): 억압적인 상황에서도 하갈은 아들을 돌보고 지키는 데서 새로운 자기 정체성을 찾습니다.

    • 삶의 의미 추구: 하갈은 수동적 피해자를 넘어서, 능동적으로 생존하고 자녀의 삶을 개척하는 의미 중심적 존재가 됩니다 (빅터 프랭클의 관점으로 분석 가능).

 

결론: 하갈은 누구인가?

하갈은 단순한 첩이 아니라, 고통 속에서도 자신의 존재를 찾아가며 생존한 심리적 회복의 상징적 인물입니다.
현대 심리학적으로 보면, 그녀는 억압 구조 속에서 자기주체성을 회복하고, 자기 존재를 하나님의 시선으로 새롭게 인식하게 된 회복적 인간입니다.

야곱의 아들 유다의 삶

성경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거치면서 성숙해 가는 과정이 잘 드러납니다. 그 과정은 심리학적으로도 흥미로운 성장의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초기 단계: 자기중심성과 책임 회피 (창 37장)

성경적 관점:

  • 유다는 형제들과 함께 요셉을 시기하여 그를 죽이려 했으나, 대신 그를 이스마엘 사람들에게 팔도록 제안합니다(창 37:26-27).

  • 이는 단순한 잔혹함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과 현실적인 계산 속에서 나온 선택입니다.

심리학적 분석:

  • 이 시기의 유다는 자기중심적 사고(egocentrism) 를 보이며, 도덕적 회피(moral disengagement) 를 통해 죄책감을 최소화하려 합니다.

  • 또한 책임 전가(deflection of responsibility) 의 태도를 보이며, 동생을 죽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스스로를 합리화합니다.

 

2. 타락과 삶의 시련 (창 38장)

성경적 관점:

  • 유다는 가나안 여인과 결혼하고, 세 아들을 낳았으나 두 아들이 죽는 슬픔을 겪습니다.

  • 며느리 다말에게 주어야 할 셋째 아들을 주지 않고, 결국 다말이 변장하여 유다와 관계를 맺고 자손을 얻습니다(창 38:26).

  • 유다는 다말을 비난하지만, 그녀의 행동이 자신의 불의함 때문임을 깨닫고 인정합니다(“그가 나보다 옳다”).

심리학적 분석:

  • 이 과정에서 유다는 처음에는 자기기만(self-deception) 을 보이지만, 이후 인지적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를 경험하며 자신이 불의했음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가족을 잃는 경험은 심리적으로 자아 성찰(self-reflection) 과 감정적 성숙(emotional maturity) 을 촉진합니다.

  • 다말 사건을 통해 유다는 처음으로 도덕적 책임(moral responsibility) 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3. 형제들을 위한 헌신과 희생 (창 44장)

성경적 관점:

  • 기근으로 인해 형제들과 함께 애굽으로 내려갔을 때, 베냐민을 지키기 위해 자원하여 자신이 대신 종이 되겠다고 합니다(창 44:33).

  • 이는 과거 요셉을 팔 때와 정반대의 태도를 보이며, 형제애와 희생정신 을 나타냅니다.

심리학적 분석:

  • 유다는 공감 능력(empathy) 이 발달하며, 이전보다 자기중심성을 낮추고 관계 중심적 사고(relationship-centered thinking) 로 변화합니다.

  • 책임감(responsibility-taking) 을 완전히 받아들이고, 과거의 실수를 만회하려는 속죄 행동(atonement behavior) 을 보입니다.

  • 이는 성경적으로도 중요한 변화로, 그의 후손에서 메시아 예수 그리스도 가 나오게 됩니다(마 1:2-3).

성경공부, 신앙상담, 그리고 사회 복지관한
상담이 필요하면 연락주시면 도와 드립니다. 

연락처 : 714-681-6770

 

복음루터교회를

경험해보세요.

우리는 전통적

신앙을 유지하며,

신앙고백적인

교회로서

여러분을 항상

환영합니다.

bottom of page